피내접종용 구제역 백신 개발 및 현장 적용
작성자 한국썸벧(주)

월간한돈 9월호에 소개된 박성한 수의연구사의 "피내접종용 구제역 백신 개발 및 현장 적용"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필자는 서론에 '2010년 대규모 구제역 발생 이후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백신 접종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이

구제역 백신 정책은 구제역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축산농가와 국가 경제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현재 사용 중인 구제역 백신은 불활화 항원 단백질에 다양한 면역보좌제가 함유된 오일 백신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근육 접종용 구제역 백신은 접종 과정에서 주사기의 물리적 손상, 미생물 오염, 면역 보좌제 및 오일 잔존 등의 원인으로 접종 부위 이상 반응(일명 이상육)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2015년 구제역 백신 경제성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구제역 백신을 포함한 백신 접종 부위 이상 반응 등으로 약 2,700억원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 출처: 구제역 백신 선정 및 접종횟수에 따른 경제성 분석 검토 보고서, 2015, 박선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구제역백신연구센터 자체 개발 백신, 접종 부위 이상 반응 감소 효과

검역본부, 국산 피내 접종용 백신 개발 위한 협력 및 지원 지속

 

끝으로 필자는 '올해 연말부터 구제역백신연구용 특수 연구시설의 정기적인 민간 개방을 통해 구제역 백신 연구에 전폭적으로 지원을 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피내 접종용 백신의 상용화 시 수입 백신 대체 효과와 함께 기존 구제역 백신의 부작용 감소에 따른 축산농가 소득 증대 및 백신접종 기피 현상 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전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