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MSY30 농장들은 무엇이 다를까?
작성자 한국썸벧(주)

월간한돈 5월호에 소개된 박성원본부장의 "국내 MSY30 농장들은 무엇이 다를까?"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필자가 속해 있는 회사는 관리를 받고 있는 농장들에 대한 연간 성적을 매년 1~2월 수집하고, 각 농장별 컨설팅 포인트를 재조정한다. 또 MSY(연간 모돈당 출하두수)상위 그룹에 있는 농장들이 무슨 이유로 이렇게 좋은 성적을 나타내고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관리농장들에게 빠르게 전파한다. 올해 MSY30+농장은 3곳이 있었고, MSY29두 전후인 농장이 3곳 있었다.

MSY를 가장 쉽고 객관적으로 공신력 있게 확인하는 방법은 “축산물 품질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연간 출하두수를 확인하고, 이 값을 농장의 상시모돈수로 나눠주면 된다. 필자가 이번 원고에서 말하는 것은 ‘했다더라’가 아니라 팩트인 ‘했다’이다.로 시작합니다.

1. PSY(연간모돈당 이유두수)? 이게 된이 되는 숫자인가? 그때 그때 달라요!

2. 실제 농장 수익에 도움이 되는 MSY(판매두수)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초다산성 모돈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맞을까?

4. MSY 29두 이상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고 있는 국내 농장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① 농장 환경과 질병 안정(특히 환기)

② 초다산성 유전자원을 활용해 자체후보돈을 생산(=실산과 이유두수가 많다)

③ 초다산성 종돈으로 자체후보돈을 생산하면서, 연간 60% 이상 모돈 갱신율을 유지

④ 올바른 관리를 통해 생시체중과 이유체중을 연간 안정적으로 관리

⑤ 초다산성 종돈을 아주 잘 아는 현장 임상수의사와 종돈전문가의 정기적 컨설팅

 

위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