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코플라스마감영증의 국내 발생 현황과 효율적인 진단 및 검사
작성자 한국썸벧(주)

피그앤포크 9월호에 소개된 강상철 수의사의 "마이코플라스마감영증의 국내 발생 현황과 효율적인 진단 및 검사"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본고에서 서두부분에 대표적인 돼지 호흡기 병원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마이코플라스마도 국내뿐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호발하고 있고 효과적인 제어 방안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뉴모니아(Mycoplasma hyopneumoniae ,MH)의 호흡기 감염은 유행성 폐렴(Enzootic pneumonia)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정상적인 호흡기 방어 기전을 공략하여 다른 호흡기 병원체의 중복 감염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정상 상재균으로 병원성 문제가 부각되지 않았던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라이니스(M. hyorhinis , MHR)의 호흡기 감염에대한 관심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라고 시작합니다.

1. 국내 돼지마이코플라스마감염증 발생현황

2. 돼지마이코플라스마감염증의 진단 및 검사

(1) 항원 검출법 #1 : PCR 

(2) 항원 검출법 #2 : 세균배양검사 

(3) 항원 검출법 #3 : 면역조직화학염색(IHC) 또는 형광항체법(Fluorescentantibody test)

(4) 항체 검사법 : ELISA 

(5) 병리학적 검사법 : 부검 및 병리조직검사 

국내 자돈을 대상으로 실시한 항원 및 항체 검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체 항체의 이행이나 백신 접종에 의한 항체가 상승 구간을 제외한 감염에 따른 혈청전환 시기는 약 10주 내외의 구간에서 높았다. 이는 이유 후 초기 육성 구간부터 MH의 감염이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향성을 반영하여 병리학적

검사를 이용한 농장의 마이코플라스마 감염 평가는 도축 출하돈에서도 진행할 수있다. 출하된 돼지의 폐 병변을 점수화하고 필요에 따라 병리조직 및 항원 검사를 병행함으로써 농장 내 호흡기 질병 중에서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라고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