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개선 소재 유형, 작용기전 및 고려사항
작성자 한국썸벧(주)

월간한돈 10월호에 게재된 강일병 수의사의 "면역개선 소재 유형, 작용기전 및 고려사항"에 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본고는 "국내에서는 ‘사료의 품질저하 방지 또는 사료의 효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보조사료로 정의하며 주요 항목은 아래 <표 1>과 같다. 면역개선 등의 기능성 소재도 이에 포함되며 모든 항목이 체내 면역 반응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나 유기산제, 항산화제, 비타민제, 효소제, 미생물제 및 추출물제 등이 면역 반응 활성/조절 및 장관미생물 개선 효과가 있어 주로 면역개선 소재로 분류된다. 구글 키워드 검색 기준으로2010~2020년간 양돈에서 15,000건 이상의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고 현장 적용이 활발한 소재로는 유기산제인 Lactic acid/Acetic acid/Formic acid, 비타민제인 Ascorbic acid/Biotin/Niacin/Riboflavin, 효소제인 Lipase/Protease/Amylase, 미생물제인 Lactobacillus/Bacillus/Enterococcus/Saccharomyces 및 차추출물 등이 있다."로 시작합니다.

1. 유형

2. 작용기전 및 효과

3. 고려사항

4. 바이오마커 발굴 및 개발

위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